본문 바로가기

🚨 소방 감지기 오작동? 점등·경종 울림… 교체 전 꼭 확인하세요

다음달지기 2025. 5. 22.

건물 내부에서 감지기 오작동이 반복된다면, 그 원인은 생각보다 다양할 수 있습니다. 특정 층에서 주기적으로 점등되거나 경종이 울리는 현상은 단순 고장이 아니라, 전기적 문제나 환경적 요인 때문일 가능성도 있어요.

 

이 글에서는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, 감지기 오작동의 주요 원인부터 해결 방법, 교체 시 유의사항, 수신기 설정 팁까지 차근차근 정리해보았습니다.

 

소방 감지기 오작동 썸네일 – 점등, 경종, 감지기 교체 안내

 

🔍 감지기 점등·경종 반복, 원인은 뭘까?

 

예를 들어 4층에서만 이상 증상이 반복된다면, 해당 구역에 문제가 집중되어 있을 확률이 높습니다. 아래 요소들을 하나씩 점검해보세요.

  • 감지기 노후: 센서 민감도 저하로 인한 오경보
  • 결로나 습기 유입: 옥상 인근 층은 특히 취약
  • 배선 접속 불량: 접점 산화, 단선, 접촉불량
  • 지구경종 회로 문제: 릴레이 불량이나 회로 이상
  • 수신기 고장: 회로 고착, 제어 불량 가능성

 

⚡ 전원 불안정도 중요한 원인입니다

 

전원 공급이 고르지 못할 경우, 감지기는 정상 작동하지 않게 됩니다. 아래 항목을 체크해보세요.

  • DC 24V 전원공급장치(PSU) 고장
  • 과도한 배선 길이 + 얇은 전선 → 전압 강하
  • 접지 미비: 유도전류 간섭으로 오작동 유발
  • 배선 산화 및 느슨한 결속

 

🛠 감지기 교체 시 헤드만? 베이스도?

 

감지기는 헤드(센서 본체)베이스(소켓)로 나뉘며, 상황에 따라 교체 범위가 달라집니다.

① 헤드만 교체해도 되는 경우

  • 기존 소켓과 호환되는 경우
  • 단순 노후 또는 센서 불량
  • 전원 차단 없이도 교체 가능 (단, 감시 기능 OFF 권장)

② 베이스까지 교체가 필요한 상황

  • 신형 헤드와 기존 소켓 간 호환 불가
  • 베이스 단자 부식 또는 접촉 불량
  • 전원 차단 필수 + 배선 재결선 필요

 

소방펌프를 가동하며 점검 중인 검사원의 일러스트

 

🔦 비축적 모드 활용 팁

 

 

수신기를 비축적(비지속) 설정하면, 알람 발생 감지기의 LED만 점등됩니다. 문제가 생긴 감지기를 빠르게 찾을 수 있어, 현장 대응에 큰 도움이 되죠.

 

❗ LED가 안 켜진다면?

 

점등이 안 되는 이유는 다양합니다. 다음 항목을 점검해보세요.

  • 감지기 자체 불량 또는 LED 없는 구형 모델
  • 베이스 접속 오류 → 전원 공급 차단
  • 수신기 설정이 ‘축적 모드’로 되어 있는 경우
  • 수신기 회로에 고장 발생

 

📌 요점 정리 체크리스트

 

소방 검사원이 천장 열감지기를 점검하는 모습의 일러스트

 

  • 문제 발생 층에 집중해 감지기와 회로 상태 확인
  • 전원 불안정은 PSU, 배선, 접지를 함께 점검
  • 헤드 교체는 간단하지만, 재발 방지를 위해 환경도 점검
  • 베이스 교체 시엔 전원 차단은 반드시 선행
  • 비축적 모드로 감지기 위치 식별 가능

 

💬 Q&A 자주 묻는 질문

 

Q. 감지기만 새로 교체하면 문제가 사라지나요?

A. 일시적으로 증상이 멈출 수는 있지만, 습기나 누전 등 근본 원인을 함께 잡아야 재발을 막을 수 있어요.

 

Q. 수신기 비축적 모드란 정확히 어떤 기능인가요?

A. 경보 발생 시 해당 감지기만 LED가 점등되며, 다른 감지기는 꺼진 상태로 유지돼 육안으로 문제 지점을 찾기 쉬워집니다.

 

Q. LED는 안 켜졌는데, 수신기에는 경보가 뜹니다. 왜 그런 거죠?

A. 감지기가 너무 오래돼 LED가 고장났거나, 베이스 접속 오류, 수신기 회로 이상, 또는 축적 모드 설정 때문일 수 있어요.

 

Q. 베이스 교체하려면 꼭 전원을 꺼야 하나요?

A. 네. 반드시 전원을 차단한 뒤 작업해야 합니다. 그렇지 않으면 감전 사고나 불필요한 경보 발생 위험이 큽니다.

댓글